대서양: 심해 형성과 해류에 대한 새로운 발견

장기 관측은 이전 견해와 모순됩니다.

아한대 북대서양은 전 세계 해양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표면 근처의 냉각에 의해 따뜻한 물은 적도 깊이로 흐르는 차갑고 무거운 심층수로 변환됩니다. 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전에는 심해의 대부분이 래브라도 해에서 형성되었다고 가정했습니다. GEOMAR Helmholtz 해양 연구 센터 Kiel이 참여한 국제 컨소시엄을 장기간 관찰한 결과, 이제 남북 역전 순환에 대한 주요 기여가 북대서양 동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류는 주로 다음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람과 바닷물의 밀도 차이. 북대서양 해류의 경우 두 과정이 모두 중요합니다. 따뜻하고 염분이 풍부한 물은 걸프 스트림과 그 산기슭을 통해 북쪽으로 멀리 운반됩니다. 물이 냉각되면 해수의 밀도가 증가하여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면 밀도가 높은 깊은 물이 다시 적도를 향해 흐릅니다. 이 흐름 시스템은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기후, 특히 북유럽의 비교적 온화한 겨울에 매우 중요합니다. 특정 지역, 특히 래브라도 해에서는 수면 가 심해로 가라앉을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땅망이 녹는 등 담수 공급으로 인해 수면 의 밀도가 감소합니다. 심층수 형성의 건조와 이에 따른 자오선 역전 순환은 유럽의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은 많은 과정을 포함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입니다. 직접 관찰 따라서 희소하며 지금까지 많은 관계가 모델 연구를 통해서만 파생되었습니다." Dr. med. 국제 저널 Science에 게재된 연구의 공동 저자 중 한 명인 GEOMAR의 Johannes Karstensen. 관찰을 통해 모델로부터 이러한 이론적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서양의 아한대 역전 순환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조사가 "OSNAP"(아한대 북대서양 프로그램의 전복)이라는 이름으로 7개국이 참여하여 2014년에 시작되었습니다. OSNAP 관측 시스템은 래브라도 해를 건너 캐나다에서 그린란드 남단까지, 더 나아가 그린란드 남단에서 스코틀랜드까지 동부 아한대 북대서양의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다수의 영구 측정 스테이션(앵커리지)이 시스템의 백본을 형성합니다. 관측소에서는 유량 데이터는 물론 물의 온도와 염분도가 지속적으로 기록됩니다.

"OSNAP 측정에서 얻은 21개월 역전 순환 시계열에서 놀라울 정도로 높은 변동성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가장 놀라운 결과는 우리가 항상 가장 중요한 심해수 형성 지역으로 여겨져 온 래브라도 해가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에 기여하는 비중이 약 15%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깊은 물 형성과 순환의 개념을 적용합니다. OSNAP 시계열의 변동을 담당하는 과정을 더 잘 식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라고 Karstensen 박사는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OSNAP 측정 기간은 자오선 순환의 특정 조건 하나만 감지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질문은 더 긴 일련의 측정을 통해서만 결정될 수 있습니다"라고 Dr. med. Karstensen. 2018년 여름, 유럽, 미국, 캐나다, 중국의 OSNAP 팀은 다시 한 번 연구선과 함께 북대서양 아한대를 여행했습니다. 데이터는 현재 분석 중이며 대서양 순환 순환의 OSNAP 시계열이 곧 2년 더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지역은 우리 기후 시스템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급격한 변화가 기후에 전 지구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의 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요합니다."라고 Karstensen은 설명했습니다.

국제 팀이 수집한 데이터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의 보고서에 통합되어 있으며, IPCC의 다음 보고서는 몇 시간 안에 작성될 것입니다. 기후 보호에 대한 조치를 위한 권장사항의 기초를 형성할 것입니다.

연구 링크: https://doi.org/10.1126/science.aau6592 " title=" " target="_blank"> https://doi.org/10.1126/science.aau6592 .